한국의 소득대비 집값, 세계에서 얼마나 비쌀까?




한국의 소득대비 집값, 세계에서 얼마나 비쌀까? (국제 비교 데이터·통계분석)

최근 한국의 집값은 "소득대비 부담" 측면에서 세계 최상위권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개도국 vs 선진국", "통계 산정 방식"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국제기구 데이터와 학술 연구를 바탕으로 핵심만 요약합니다.


1. 핵심 결론: 한국은 "선진국 중 최악, 개도국보다는 낮은" 편


  • 선진국 대비: 한국(특히 서울)의 소득대비 집값은 미국·캐나다·호주보다 높습니다.

  • 개도국 대비: 중국·인도·베트남 등 신흥국 대비 낮은 편이지만, 이는 소득 수준 차이 때문입니다.


  • 체감 수준: 한국인 평균 소득으로는 주택 구매까지 15~20년 소요되며, 이는 OECD 평균(10년)의 약 2배입니다.



1. 소득대비 집값 측정 방법


(1) Price-to-Income Ratio (PIR)

  • 공식중위 주택가격 ÷ 중위 가구 소득
    (예: 집값 6억 원, 연소득 5,000만 원 → PIR = 12)

  • 기준:

    • 3 이하: 매우 저렴

    • 5 이상: 부담스러움

    • 10 이상: 심각한 주거비 부담 (출처: UN-Habitat)




 Median Multiple

  • Demographia(국제 부동산 조사기관)가 사용하는 지표로,
    중위 주택가격 ÷ 중위 가구 세전 소득으로 계산합니다.


*OECD 주택가격 소득비 (2022)

  • 한국: 18.3년 (주택 구매까지 평균 18.3년 소요)

  • * OECD 평균: 10.2년

  • 최악: 뉴질랜드(21.8), 한국(18.3), 캐나다(16.3)


2. 한국 vs 선진국: 소득대비 집값 비교


(1) 2023년 Demographia 데이터




국가 (도시)
Median Multiple평가
한국 (서울)15.8Severely Unaffordable
호주 (시드니)13.3Severely Unaffordable
캐나다 (밴쿠버)12.0Severely Unaffordable
미국 (뉴욕)10.4Severely Unaffordable
독일 (베를린)8.2Seriously Unaffordable
일본 (도쿄)4.7Affordable


  • 서울의 PIR은 15.8로 호주·캐나다 주요 도시보다 높습니다.

  • 단, 일본 도쿄는 주택 공급 확대 정책으로 PIR이 낮은 편입니다.


(2) OECD 주택가격 소득비 (2022)


  • 한국: 18.3년 (중위 주택가격 ÷ 중위 가구 소득)


  • 평균: OECD 25개국 평균 10.2년


  • 최상위: 뉴질랜드(21.8), 캐나다(16.3), 한국(18.3)


(소득 대비 명목 주택 가격)



3. 한국 vs 개도국: 소득대비 집값은?


개도국 데이터는 체계적 통계가 부족하지만, 일부 사례를 비교하면:

  • 중국 (베이징): PIR 35~40 (체감 수준)

  • 인도 (뭄바이): PIR 30~35

  • 베트남 (호치민): PIR 25~30

  • 한국 (서울): PIR 15~20

  • 놀라운 점: 한국보다 중국·인도 도시들의 PIR이 훨씬 높습니다.
    이는 급속한 도시화와 주택 공급 부족, 소득 격차 때문입니다.



4. "통계가 다른 이유" 꼼꼼히 파헤치기


(1) 주택가격 산정 기준 차이

  • 한국: 아파트 매매가 중심 (KB통계)

  • 해외: 단독주택·연립주택 비중 높음 (예: 미국은 주택의 80%가 단독주택)


(2) 소득 정의 불일치

  • 한국: 가구당 순소득 (세후)

  • OECD: 가구당 총소득 (세전)


(3) 조사 지역 편향

  • 한국: 서울·수도권 데이터가 전체의 70% 이상 반영

  • 미국: 뉴욕·LA 등 특정 도시만 집중 분석하지 않음


(4) 주택 유형 차이

  • 한국: 아파트 매매가 중심 (전체 주택의 60% 이상)

  • 미국·유럽: 단독주택·연립주택 비중 높음 (주택 유형별 가격 편차 큼).

(5) 소득 정의 차이

  • 한국: 세후 순소득 기준 (실질 가처분 소득).

  • 국제기구(OECD): 세전 총소득 기준.

(6) 조사 지역 편향

  • 한국: 서울·수도권 데이터가 전체 통계의 70% 이상 반영.

  • 일본: 도쿄 외 지방 주택까지 광범위하게 조사.


5. 핵심 결론: 한국 주거비 부담은 "상위 5%"

  • 국제기준으로 봐도 한국 집값은 비싼 편입니다.
    특히 서울은 세계에서 주거 부담이 가장 높은 도시 TOP 10에 포함됩니다.

  • 다만 개도국 대비는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소득 수준이 높기 때문입니다.










#한국소득대비집값 #한국집값 #세계집값 #한국부동산 #세계부동산